[해설]고등학교 경제 문제 지필고사 유형집중 - 금융 상품 A
문제를 푸시지 않은 분들은 문제 먼저 풀고 와주세요.
해설 시작하겠습니다.
문제: https://gkrtodryghkf.tistory.com/61
1. (3)
갑은 주식, 을은 정기 예금에 투자했다. 채권은 이자 수익과 시세 차익 모두 기대할 수 있으므로 을이 투자한 상품이 아니다.
ㄱ. 주식은 정기 예금, 채권에 비해 일반적으로 수익성이 높다.
ㄴ. 정기 예금은 예금자 보호 제도의 적용을 받는다.
[오답 피하기]
ㄷ. 주식의 발행 주체는 기업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2. (2)
갑은 A 회사 주식에 300만 원(3주), B 회사 주식에 200만 원(10주), C 회사 주식에 500만 원(10주)을 투자한다. 투자 손익을 계산하면 (가)에서는 15만 원 손실이고, (나)에서는 30만 원 이익이다.
3. (1)
주식은 정기 예금, 채권과 달리 이자 수익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이자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B, C가 예, A는 아니오로 대답할 것이다. 따라서 A는 주식이다. 정기 예금은 주식, 채권과 달리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A(주식)가 예, B가 아니오로 대답할 것이다. 따라서 B는 정기 예금이고, 나머지 C는 채권이다.
ㄱ. 일반적으로 수익성은 주식이 채권보다 높다.
ㄴ. 일반적으로 안정성은 정기 예금이 채권보다 높다. 따라서 채권은 정기 예금보다 안정성이 낮다.
[오답 피하기]
ㄷ. 정기 예금은 주식, 채권과 달리 예금자 보호 제도의 적용 대상이다.
ㄹ. 주식은 채권, 정기 예금과 달리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4. (4)
갑, 을의 답변이 옳고 B, C 모두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A는 정기 예금이다. B는 이자 수익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주식이며, 나머지 C는 채권이다.
(4)채권은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원금과 이자를 상환해야 하므로 주식과 달리 발행 주체의 부채를 증가시킨다.
[오답 피하기]
(1) 정기 예금은 채권보다 안정성이 높다.
(2) 주식은 만기가 없고 원금도 보장되지 않는다.
(3) 주식은 정기 예금보다 원금 손실 위험이 크므로 옳지 않다.
(5) 정부도 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
5. (5)
(5) 일반적으로 보험은 수익을 기대하는 목적의 금융 상품이 아니다.
[오답 피하기]
(1) 정기 예금과 정기 적금은 모두 저축성 예금이다.
(2) 정기 예금, 정기 적금, 채권은 모두 만기 시 이자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3) 갑이 보유한 채권은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 금융 상품 중 하나이다.
(4) 채권은 정기 예금과 정기 적금과 달리 예금자 보호 제도의 적용을 받지 않으므로, 갑의 전체 금융 자산 중 예금자 보호 제도의 적용을 받지 않는 금융 자산의 비율은 약 11.8%로 10%를 넘는다.
'고등 사회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고등학교 경제 문제 지필고사 유형집중 - 금융 상품 A (0) | 2024.08.15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