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학생교활]2023수특영어 t1-20 변형 최고난도.pdf
0.09MB
안녕하세요! 학생교활입니다.
오늘은 2023수특영어 test1 20번 문제 변형으로 찾아 뵙게 되었습니다.
음 이 문제는 딱히 변형할 만한 유형이 없어서 그냥 연계 외부지문 가지고 왔습니다.
주제/제목같은 유형은 너무 쉽잖아요 ㅋㅋ
원래 문제의 내용과 큰 틀은 똑같고 예시만 약간 다른 내용이라 그렇게 막 어려운 내용은 아닙니다.
한 번 풀어보셔요~~^^
<정답과 해설>
1.
언어가 우리의 생각을 완전히 결정하지는 않지만, 언어의 습관적인 사용은 우리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언어적 관습은 심지어 문화적 가치와 사회적 제도와 관련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대명사 생략(pronoun drop)이 그 예이다. "I"와 "You"와 같은 대명사는 영어 담화의 화자와 청자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영어 문장에서, 이 대명사들은 문장의 주어로 사용될 경우 생략될 수 없다. 예를 들어, "나 어젯밤에 영화 보러 갔어"는 괜찮지만, "어젯밤에 영화 보러 갔어"는 표준 영어로 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일본어와 같은 다른 언어에서 대명사는 문장에서 생략될 수 있으며, 실제로 종종 생략된다. 대명사 생략 가능 언어가 사용되는 나라에 사는 사람들은 영어와 같은 대명사 생략 불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보다 집단주의적 가치를 더 갖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너"와 "나"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은 화자들에게 자아와 타인의 구별, 그리고 개인 간의 차별을 상기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언어적 실천은 문화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상기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사람들이 언어적 관습을 수행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 |
secular 세속적인
distinctive 독특한
aesthetic 미적인
humanistic 인도주의적인
collectivistic은 collective(집단의)와 같이 생각하면 좋을 거 같네요^^
728x90
반응형
'고등 영어 > 수특영어 변형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수특영어 13강 변형문제 어법중점 (1) | 2022.09.24 |
---|---|
2023수특영어 28-4 변형 최고난도 (0) | 2022.09.18 |
2023수특영어 28-3 변형 최고난도 (0) | 2022.09.18 |
2023수특영어 27-3 변형 최고난도 (0) | 2022.09.18 |
2023수능특강 영어 11-12 변형문제 최고난도 (0) | 2022.07.03 |
댓글